- <ol> , <li> 태그
- <ul> , <li> 태그
- <dl> , <dt> <dd> 태그
1. 순서가 있는 목록 <ol>, <li> 태그
ol은 ordered list 의 약자로 말 그대로 각 항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입니다.
<ol>
<li>
발라드
<ol>
<li>너의 번호를 누르고</li>
<li>소주 한잔</li>
<li>같은 배게</li>
</ol>
</li>
<li>
랩
<ol>
<li>네가 없는 밤</li>
<li>리무진</li>
<li>불도저</li>
</ol>
</li>
<li>
재즈
<ol>
<li>재즈</li>
<li>아무것도</li>
<li>몰라</li>
</ol>
</li>
</ol>
좋아하는 음악장르를
-
발라드
- 너의 번호를 누르고
- 소주 한잔
- 같은 배게
-
랩
- 네가 없는 밤
- 리무진
- 불도저
-
재즈
- 재즈
- 아무것도
- 몰라
type속성과 start속성을 이용해서 li앞에 이용되는 값들을 바꿀 수 있기도 합니다. 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속성이므로 넘어 가겠습니다.
2. 순서가 없는 목록 <ul>, <li> 태그
unordered list의 약자로 말그대로 순서가 없는 목록을 만드는 태그로 실제 웹사이트에서는 ol,li 보단 ul,li를 자주 이용합니다.
<ul>
<li>
한식
<ul>
<li>불고기</li>
<li>
김치
<ul>
<li>나박김치</li>
<li>오이김치</li>
<li>
열무김치
<ol>
<li>매운 열무 김치</li>
<li>많이 매운 열무 김치</li>
</ol>
</li>
</ul>
</li>
<li>갈비</li>
</ul>
</li>
<li>
일식
<ul>
<li>연어초밥</li>
<li>텐동</li>
<li>덮밥</li>
</ul>
</li>
<li>중식</li>
<li>양식</li>
</ul>
좋아서하는 나라별 음식
-
한식
- 불고기
-
김치
- 나박김치
- 오이김치
-
열무김치
- 매운 열무 김치
- 많이 매운 열무 김치
- 갈비
-
일식
- 연어초밥
- 텐동
- 덮밥
- 중식
- 양식
ol,li에서는 앞에 순서가 증가하는 숫자로 리스트를 나열했지만 ul, li는 불릿(bullet)이라고 불리는 작은 원이나 사각혀을 붙여서 구분합니다.
3. 설명하는 목록 <dl>, <dt>, <dd> 태그
설명 목록이란 이름과 값의 형태로 되 목록을 말하는 것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단어를 설명하고자 할 때 단어의 이름에 해당하는 것은 <dt>태그에 작성하고, <dd>에 해당하는 것은 그 단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.
<dl>
<dt>눈</dt>
<dd>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기관</dd>
<dd>하늘에서 대기로 떨어지는 얼음결정체</dd>
</dl>
<dl>
<dt>HTML</dt>
<dd>웹 문서를 구조화하는 데이터언어</dd>
<dd>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준말</dd>
<dt>CSS</dt>
<dd>구조화된 웹문서에 디자인을 입히는 언어</dd>
<dd>Cascade StyleSheet의 준말</dd>
</dl>
- 눈
-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기관
- 하늘에서 대기로 떨어지는 얼음결정체
- HTML
- 웹 문서를 구조화하는 데이터언어
-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준말
- CSS
- 구조화된 웹문서에 디자인을 입히는 언어
- Cascade StyleSheet의 준말
위와 같이 들여쓰기가 되고 dt로 두단어를 구분하는 것과 dl로 두단어를 구분하는 것의 차이는 dl로 구분해주게되면 기본 margin 값이 커서 dt로 구분하는 것보다 세로간격이 더욱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'Frontend > HTML +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박스 모델 (2) | 2022.10.02 |
---|---|
[CSS] 단위(크기), font-size (0) | 2022.10.02 |
[CSS] 스타일 시트 적용방법, 스타일 우선순위 (0) | 2022.09.27 |
[HTML] paragraph 태그 (0) | 2022.09.27 |
[HTML] heading 태그 (0) | 2022.09.27 |